산행일자 : 2021. 6. 5(토)
산행인원 : 나 홀로.
산행코스 : 계양산-징매이고개-중구봉-287봉(천마산)-철마산(육각정자)-아나지고개-원적산-165봉(함봉산)-장고개-
구루지고개-136봉(호봉산)-백운공원.
산행거리 및 시간 : 약 17.5km, 6시간 10분.
교통 : 1호선 부평역에서 인천1호선으로 환승, 계산역 하차 후 5번 출구로 나와 약 700m 걸어 연무정에서 산행시작.
산행종료 후 1호선 백운역에서 승차 후 귀가.
인천1호선 계산역 5번 출구로 나와서 10분 정도 걸어
인천대간 출발지점 계양산 연무정에 도착해 산행을 시작한다.
연무정을 지나 등로가 시작된다.
휴일이라 많은 사람들이 계양산을 오른다.
진행방향으로 계양산 정상과. 좌측 아래로 징매이고개와 중구봉이 시야에 들어 온다.
계성정(桂城亭)
계양산성에 세워진 정자라 부르는 명칭인 듯..
인천의 진산 계양산이 높게 다가 온다.
하느재
하느재 이정표
나무계단 등로를 오르며 9부능선에서 정상을 올려다 본다.
계양산 정상의 모습.
계양정(桂陽亭)
계양산 정상에서 바라본 풍경
중구봉, 천마산, 철마산, 원적산, 함봉산이..
R to L 원적산, 함봉산, 만월산, 만수산, 철마산, 거마산과 그 뒤로 소래산, 성주산에 이르는 인천대간이 조망된다.
바로 아래로는 헬리포트가..
계양산 정상과 한남정맥 피고개 분기지점인 혤리포드.
혤리포드 삼각점.
혤리포드 이정표..산림욕장 방향으로 진행한다.
헬리포트에서 20여분 내려오면 만나는 3거리...좌틀한다.
징매이고개 생태통로에서 바라본 경명대로(서구청 방향)
중구봉을 오르면서 뒤돌아본 계양산.
인천대간 1구간은 인천 종주길 1-3구간과 등로가 같아 이런 표지목이 종종 보인다.
중구봉의 모습이다..누가 쌓아 놓았을까?..아니면 등산객이 하나, 둘씩 던져 놓은것이 커다란 돌탑이 된걸까?
장미원에서 계양산을 오르다 보면 초입에 이런 돌탑이 2개나 보인다.
중구봉에서 조금 내려온 지점에서 바라본 천마산.
길마재
페초소를 철거하고 그자리에 팔각정자를 새로 세웠다.
정자의 명칭은 '새벌정' 이다. 새벌리는 효성동의 옛 지명으로 억새가 많은 넓은 벌판을 뜻한다.
새벌정 주변에는 노란 금계국이 지천이다.
새벌정에서 바라본 중구봉과 계양산.
새벌정에서 바라본 원적산.
새벌정에서 바하본철마산.
천마산 정상석..보기가 좀...
총소리가 안들리니 직진이다.
뒤돌아본 천마산과 계양산
헬리포트 4개를 지나와 철마산으로 오른다.
철마산으로 기록한 이유는 한남정맥 종주 지도와 카카오맵에 철마산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철마산(226m)정상에는 육각정자가 있어 잠시 쉬어간다.
인천 종주길 표식이 나무에 걸려 있고, 잠시후에 하나아파트로 내려선다.
저 끝에서 좌측으로 돌아나가서 횡단보도를 건너 다리(루원교)로 진행한다..이곳이 아나지고개다.
다리를 지나와 고속도로를 건널 수 있는 육교로 진행한다.
고속도로 육교를 건너서 한신그랜드힐빌리지로 진입해 통과한 후
횡단보도를 건너 우틀해 조금 걸으면 원적산 입구에 도착한다.
원적정으로 가는 등로는 편안한 흙길이다.
원적정을 지나면 잠시후에 마사토 길을 걷게 된다.
우측으로 샛길도 있지만 원적산 정상으로 향한다.
원적산 정산은 넓고 평퍼짐 하다.
원적산 정상석
한남정맥 지도와 카카오맵에는 높이가 196m로 표기되어 있는데..우찌 211m라고 할까?
전망대가 있는 172봉에서 뒤돌아 바라본 풍경
좌측 원적산, 중앙 장수산, 그 뒤로 천마산, 중구봉, 계양산이 조망된다.
세일고등학교 방향의 나무계단으로 내려선다.
진행방향의 마루금.
원적산 생태이동 통로.
원적산을 내려와 우측의 생태이동 통로로 진행할까 고민하다..
좌측의 횡단보도를 건너 산속으로 진행한다.
한남정맥 지도와 카카오맵에는 철마산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누가 이런 정상석을 세웠을까?
지도에서 높이를 살펴보니 165m로 표기되어 있어 165봉(함봉산)으로 기록하기로 했다.
165봉(함봉산)에서 조망.
우측의 계양산을 필두로 지나온 산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L to R 172봉, 원적산, 그뒤 멀리 철마산, 우측으로 천마산, 중구봉, 계양산이 조망되고
원적산 우측의 나즈막한 산은 인천대간에서 벗어나 있는 장수산으로 나비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165봉(함봉산) 정상의 모습.
165봉(함봉산)에서 완만한 능선을 내려와 장고개를 지난다.
소공원의 오솔길을 걷다가..
능선으로 올라 조금 걸으니 운동기구가 설치된 곳을 지난다.
조금 더 걸으니 삼거리 지점에 도착해 좌측으로 진행한다.
삼거리 지점의 이정표.
삼거리 지점의 인천 종주길 안내 표지목
앝으막한 능선을 내려와 이곳에서 좌측으로 호봉산을 오른다.
진행방향 좌측 100m 지점에 있는 호봉산을 갔다가 다시 이 지점으로 돌아 온다.
호봉산 정상의 모습이다.
호봉산에서 다시 대간길로 돌아와 지나온 165봉(함봉산) 능선을 바라본다.
편안한 등로를 걸어서...
구르지고개에 도착했다.
구르지고개에서 나무계단 등로를 걸어와...
송전탑과 산불감시 초소가 있는 봉우리에 도착했다..여기도 함봉산이라고 한다.
걸어 내려온 하산지점의 모습이다.
하산지점에 함봉산 숲길 안내도와..
하산 지점에 용포샘 석비와 우측에 부평도서관이 자리하고 있다.
이곳에서 우측으로 50미터 쯤 가서 횡단보도를 건너면 백운공원이다.
하산지점에서 50m 걸어오면 인천종주길 표시목이 있다..이곳에서 횡단보도를 건넌다.
백운공원을 지나서..
다음구간 들머리를 확인하고 인천대간 1구간 종주를 종료한다.
'국내산행여행 > 국내종주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의도 섬산행(국사봉-호룡곡산) (0) | 2021.09.07 |
---|---|
인천대간 2구간 종주(동암산-만월산-철마산-성주산-소래산-관모산) (0) | 2021.06.15 |
호남알프스 종주 1구간(송광사-종남산-서방산-서래봉-위봉재-원등산-율치) (0) | 2021.05.15 |
영남알프스 1000고지 9봉우리 완등 인증 (0) | 2021.01.05 |
영남알프스 9봉 완등 인증 산행 2편 (0) | 2020.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