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산에오르다/국내여행산행

관악산 등산

새가 페루에서 죽다[http://blog.daum.net/zydeco]

 




산행일자
2009. 9. 9. 10.

교통편
지하철 서울대역 3번출구로 나와 시내버스 5511, 5513를 타고 서울대 신공학관에서 하자.








오르면서..



삼성산



정상부의 Radio 송신탑과 기상대



63빌딩과 북한산



삼성산, 446봉(우측)



암봉



기상대



저 능선을 따라 오른다.



한남정맥인 수리산과 수암봉, 능선은 목감까지 이어진다



멋스러운 소나무



송신소 철탑이 보인다.



걸어온 능선, 능선 아래 서울대 캠퍼스가 자리잡고 있다.



관악산 정상부에 기상대가 자리잡고 있다.



국기봉과 8봉능선, 저멀리 수리산..



북한산과 도봉산, 남산타워도 보인다.



멋지다



국기봉, 삼성산




8봉능선




기상대



더울땐 이 계곡으로 오른다.



서울시내, 여의도 방향



멋진 바위



지상파 3사의 송신소





서울시 과천시 경계능선, 우면산 뒤로 부자들만 산다는 타워펠리스도 보인다.




연주대, 아름다운 한강



과천시와 청계산



아담하게 자리한 연주암



6봉능선



8봉능선



한강이 흐르는 서울, 서초, 강남 방향



경마장, 대공원이 자리한 과천, 청계산이 아담하게 감싸고 있다.



광교산과 백운산, 그 아래 백운호수 옆으로 서울외곽순환도로가 지나고 왼쪽 멀리 분당신도시도 보인다.



6봉능선, 그 아래에 평촌 신도시가 자리하고 있다.



8봉능선, 안양시, 산본시, 수리산이 보인다.



저녁 노을에 드러 나는 한강 줄기





지평선 너머로 하루 해는 저물고..




다시 하루가 시작되고..



연주대에 오른다.



어제 가운데 능선으로 올랐지..



관악산 정상이다.



정상부에 자리한 국가 시설물



사당으로 뻗어 내린 관악산 주능선, 뒤쪽은 우면산이다.





관악산 정상부 능선




기암괴석과 지도바위



관악문



아쉬워서 다시 한번..





하산길에 보이는 여의도 일원




능선이 아름답다.



서울시 일원과 북한산



장군봉, 다음에는 저 코스를 소개 합니다.


관악산

관악산(높이 629 m)은 예로부터 개성의 송악산, 파주의 감악산, 포천의 운악산, 가평의 화악산과 더불어 경기 5악의 하나로 불리었다.

일찍이 고려 숙종 원년(1069) 김위제가 지리도참설에 의해 남경 천도를 건의할 때 삼각산 남쪽을 오덕구(五德丘)라 말하며, 그 남쪽의 관악은 모양이 날카로와 화덕(火德)에 속한다고 말하고 있다.

남쪽 봉우리 삼성산 중턱에 있는 삼막사에는 몽고항쟁 때 적장 살리탑을 살해한 기념으로 세웠다는 삼층석탑이 있다. 물론 관악산은 그 이전 한강을 중심으로 백제·고구려·신라 삼국이 쟁탈전을 펼치고 당군(唐軍)을 축출할 때 그 지형상 군사적 요충지가 되었다.

서쪽 끝 봉우리에 해당하는 호암산에는 삼국시대에 쌓은 석축 산성이 있어 그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조선후기 기록인 『연주암지(戀主庵誌)』에는 신라 문무왕 17년(677) 의상대사가 관악사와 의상대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관악산은 그 북쪽 기슭 낙성대에서 출생한 고려의 강감찬과 관련한 전설도 많이 지니고 있다. 그가 하늘의 벼락방망이를 없애려 산을 오르다 칡덩굴에 걸려 넘어져 벼락방망이 대신 이 산의 칡을 모두 뿌리째 뽑아 없앴다는 전설도 있고, 작은 체구인 강감찬이지만 몸무게가 몹시 무거워 바위를 오르는 곳마다 발자국이 깊게 패었다는 전설도 있다. 이 전설들을 뒷받침해 주듯 관악산에서는 칡덩굴을 별로 볼 수 없고, 곳곳의 바위에 아기 발자국같은 타원형 발자국들이 보인다.

서울의 남쪽 경계를 이루며 그 줄기가 과천 청계산을 거쳐 수원의 광교산에 닿아 있다. 1973년 관악구가 영등포구에서 분구되면서 명산으로서의 산 이름이 구의 명칭이 되어 관악구의 상징이자 자랑이 되고 있으며, 관악구 문화유산의 대부분이 관악산에서 비롯되었다. 1968년에 건설부 고시 제34호로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수많은 서울 시민들이 즐겨 찾는 휴식처로 서울의 명소가 되었다.

제1광장과 제2광장, 야영장 4개소, 정자 33개소가 설치되어 있고, 야외탁자 117개와 벤치 433개가 있다. 운동시설로는 운동장 1개소와 간이운동장 38개소가 있으며, 성인 운동기구 13종 153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입구에 주차장 2개소가 있다.





'그산에오르다 > 국내여행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천산  (0) 2009.10.29
관악산 단풍  (0) 2009.10.19
10월의 설악산  (0) 2009.10.08
설악의 6월  (0) 2009.06.18
관악산에서 바라본 운해  (0) 2008.03.08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