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맥기맥산행/강화지맥[完]

강화지맥 1구간(당산-농업기술센터 정류장)

 

산행일자 : 2020. 10. 3(토)

□ 교 통 편 : 갈때, 1호선 전철-주안역에서 인천2호선 환승 후 마전역 1번출구로 나와 90번 버스 탑승-청소년수련관 정류장 하차

                   : 올때, 농업기술센터 정류장(43357, 서문안 방면)에서 31B 버스 탑승 후 강화자동차여객터미널에서 90번 환승

□ 산행코스 : 청소년수련관 버스정류장-고려인삼센터-당산(74.2m)-용정교차로현대아파트 정류장모아정-사거리 마트

                      -강화여자중학교 앞-견자산(60m)-동문-북산(140m)-진고개(강화대로)-국화길(2차선도로)-고려산(436.3m)

                      -고비고개-혈구산(466m)-퇴모산(338.9m)-농업기술센터 정류장(중앙로)

 

 

 

청소년수련관 버스정류장에서 하차 후 버스 진행 반대 방항으로 걸어와 고려인삼센터에 도착하니 당산이 조망된다.

 

 

 

염하강변을 걸어와 당산 등산로 입구에 도착한다.

 

 

 

염주돈대

 

 

 

당산

 

 

 

용정교차로에서 뒤돌아 본 당산

 

 

 

용정교차로 밑을 통과해 강화대로변을 걸어 현대아파트 정류장을 지나고 고대낚시와 모아정 사잇길로 방향을 잡는다.

 

 

 

사거리 마트 앞을 지나 갑룡길로 발길을 옮긴다..상위 2개의 사진은 참고용으로 인터넷에서 구했다.

 

 

 

걸어온 갑룡길, 좌측에 신축 이전한 강화여자중학교가 자리잡고 있다.

 

 

 

여기서 우틀해..

 

 

 

이동경로(실선은 차도이며,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보입니다)

 

 

 

집안으로 들어서니 좌측으로 견자산을 오르는 등산로가 보인다.

 

 

 

강화산성 서문 방향(강화나들길)

 

 

 

견자산을 오른다.

 

 

 

견자산 현충탑

 

 

 

견자산(60m) 정상

 

 

 

견자산을 내려서며 조망..강화중학교 뒤로 북산이 보인다.

 

 

 

강화산성 동문

 

 

현판에 강도동문(江都東門)이라 쓰여있다..문을 통과해..

 

 

 

바라 본다.. 망한루(望漢樓) 현판이 걸려 있다.

 

 

 

강화나들길을 따라 걸으니 보호수가 눈에 들어 온다.

 

 

 

수령 600년 느티나무 보호수

 

 

 

여기서 우측으로..

 

 

 

북문42번길을 따라 걸으면..

 

 

 

이곳에 도착한다.

 

 

 

저 멀리 문수산이 조망된다.

 

 

 

북장대로..

 

 

 

북산 정상의 북장대(北將臺) 터..남산의 남장대(南將臺)와 대조를 이룬다.

 

 

 

 

남산 정상에 남장대(南將臺)가 조망되고, 남산 좌측에는 진강산, 우측에는 혈구산이 조망된다.

 

 

 

혈구산과 고려산(우측)

 

 

 

봉천산(좌), 중간에 성덕산, 우측에 별악봉, 그 앞쪽 우측이 제적봉이다.

 

 

 

제적봉 정상에 평화전망대 흰색 지붕 돔이 빼꼼이 보인다..강화지맥 남북종주 시발점이다.

 

 

 

고려산(좌), 별립산(중앙), 봉천산(우)

 

 

 

강화산성(江華山城)

강화산성은 고려 후기, 몽골의 침입에 대항하기 위하여 왕도 개경에서 강화도로 급히 천도한 시기인

강도(江都) 시기(1232~1270)에 조성한 산성이며, 강화읍 내가면과 하점면 일대에 걸쳐 약1.2km에 이르며

처음에는 토성이었으나 몽골에 항복을 한 뒤 몽골이 허물어 버린 것을 조선시대에 들어와 석성(石城)으로 다시 쌓은 것이다.

 

 

 

강화산성 북문 진송루

 

잠시 역사 공부를 한 후 북문 좌측으로 이어지는 성곽길로 진행했지만 얼마 못가 성곽길은 끊어지고 잡풀이 우거져..

 

 

 

북문으로 되돌아 와 화장실 뒤로 나있는 아스팔드 길로 진행한다.

 

 

길 끝에는 군부대가 자리잡고 있다...철문 좌측으로 내려가 소나무 숲길을 걷는다.

 

 

 

 걸어 내려온 토성산성 길

 

 

 

진고개 방향으로..

 

 

 

진고개

 

 

 

도로를 건너와서 시멘트 포장길로 들어선다.

 

 

 

밀양박씨 납골묘를 지나 철조망을 따라 내려가면.. 

 

 

 

국화길(2차선도로)에 도착한다.

 

 

 

길을 건너 고려산으로 향한다.

 

 

 

2개의 돌탑

 

 

 

등로 왼편으로 흰색의 현충탑이 있는 견자산과 그 뒤로 당산, 당산 뒤로 문수산이 조망된다.

 

 

 

청련사, 백련사 갈림길..백련사는 얼마전에 다녀온 곳이다.

 

 

 

운무가 점점 심해진다.

 

 

 

고려산 정상으로 가는길.

 

 

 

지맥길은 잡풀과 칡넝굴이 무성하다.

 

 

 

고비고개 1.2km, 고려산 정산 0.6km, 하지만 고려산 정상 방향은 나무 울타리로 길을 막아 놓았다.

 

 

 

고비고개 구름다리

 

 

 

다리를 건너와 고려산 바라본다.

 

 

 

고비고개..왼편 아래에 공터가 있어 승용차 서너대는 주차가 가능하다..또한 군내버스 14, 15, 49, 62번이 통과한다.

 

 

 

혈구산 1봉과 2봉

 

 

 

거북바위 전망대

 

 

 

외포리로 뻗어 내린 능선 좌측 너머로 석모도가, 우측으론 내가저수지와 그 너머로 덕산과 국수산이 조망된다.

 

 

 

지맥 산줄기 너머로 덕정산과 진강산, 그 너머로 강화도의 명산 마니산이 조망된다.

 

 

 

혈구산 정상으로 고고.

 

 

 

혈구산 정상..먼저 도착한 산객이 쉬고 있다.

 

 

 

한반도의 중심 강화.

 

 

 

혈구산 정상(해발 466m)

 

 

 

운무에 휩싸인 김포 문수산

 

 

 

남산과 국화저수지

 

 

 

국화저수지 좌측에서 시작된 고려산으로 오르는 능선,  좀전에 걸어온 능선이다.

 

 

 

혈구산 2봉과 1봉, 그 뒤로 고려산, 낙조능선 너머로 별립산(좌)

 

 

 

덕정산과 진강산, 그 뒤로 마니산은 어렴풋 하다.

 

 

 

퇴모산으로 뻗어 내린 지맥능선 좌측 너머로 석모도가, 우측으론 내가저수지와 그 너머로 덕산과 국수산이 조망된다.

 

 

 

퇴모산으로..

 

 

 

퇴모산 직전의 봉우리.

 

 

 

퇴모산 정상(388m)

 

 

 

퇴모산 정상에서 바라본 250m봉, 덕정산, 진강산, 마니산.

 

 

 

아르미애월드 건물 뒤편을 거처 나오면 이곳에 도착한다.

 

 

 

전봇대 우측으로 희미하게 임도가 보인다.

 

 

 

강화지맥 1구간은 이곳에서 종료한다.

31B번 버스를 타고 강화자동차여객터미널에서 90번 버스로 환승 후 귀가 한다.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