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간칠정맥/백두대간자료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두대간 도상거리 백두대간 구간별 도상거리 (출처 : 사람과산 2001.10. 별책부록) [ 지리산권 ] 중산리-(5)-천왕봉-(4.1)-촛대봉-(2.8)-칠선봉-(3)-벽소령-(3.2)-명선봉-(2.4)-토끼봉-(1.7)-삼도봉-(5)-노고단-(1.3)-종석대-(1.2)-성삼재-(1.6)-고리봉-(3.3)-만복대-(1.8)-정령치-(0.75)-고리봉-(2.8)-고기리-(4.2)-수정봉-(3.7)-여원재-(5.2)-고남산-(5.4)-매요리-(2)-사치재-(2.2)-새맥이재-(1)-시리봉-(3.7)-복성이재-(3.5)-봉화산-(4.3)-광대치-(2.7)-중재 .. 계 77.85km (산림청 77.1km) [ 덕유산권 ] 중재-(3.7)-백운산-(3.2)-영취산-(1.9)-덕운봉-(1.7)-민령-(2.3)-깃대봉-(2.5)-.. 더보기 백두대간이란 백두대간 산경도 1. 백두대간이란? 우리 선조들이 오랜 세월 검증과 고증을 거쳐오면서 발전시켜온 전통지리관이다. 그렇기 때문에 백두대간이야말로 우리민족의 삶의 터전인 이 땅을 가장 정확하게 읽어내고 표현해 낼 수 있다. 산줄기가 강을 넘고 바다를 건너는 산맥의 혼돈을 바로잡아 줄 수 있는 대안이 바로 백두대간이다. 이런 이유들로 해서 일제의 침략정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산맥개념은 하루속히 우리의 전통지리관인 백두대간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그래서 지도만 가지고도 우리의 산줄기와 강줄기의 근본을 알 수 있고, 우리 민족사의 굴곡들을 꿰뚫어 볼 수 있어야 한다. 백두대간, 살아 꿈틀거리는 불가항력의 힘이 느껴지는 거대한 산줄기는 바로 이 땅의 역사다. 산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백두대간에 대한 이해의 폭..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