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산에오르다/국내여행산행

강화도를 찾아서..광성보, 평화전망대, 석모도 보문사



         2일차 일정 첫번째로 광성보를 찾았다.







강화 광성보 (江華 廣城堡)의 안해루(按海樓)

고려가 몽고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강화로 도읍을 옮기면서 1233년부터 1270년까지 강화외성을 쌓았는데, 이 성은 흙과 돌을 섞어서 쌓은 성으로 바다길을 따라 길게 만들어졌다. 광해군 때 다시 고쳐 쌓은 후 효종 9(1658)에 광성보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숙종 때 일부를 돌로 고쳐서 쌓았으며, 용두돈대, 오두돈대, 화도돈대, 광성돈대 등 소속 돈대가 만들어 졌다.

 

영조 21(1745)에 성을 고쳐 쌓으면서 성문을 만들었는데 안해루라 하였다. 이곳은 1871년의 신미양요 때 가장 치열한 격전지였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용감히 싸우다가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원이 순국하였으며 문의 누각과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이 파괴되었다.

 

1976년 다시 복원하였으며, 광성보 경내에는 신미양요 때 순국한 어재연 장군의 쌍충비와 신미순의총 및 전적지를 수리하고 세운 강화전적지, 수리한 것을 기록한 비석 등이 건립되었다.

 

광성보는 덕진진, 초지진, 용해진, 문수산성 등과 더불어 강화해협을 지키는 중요한 요새이다.

 

글 출처 : 문화재청









         광성돈대(廣城墩臺)








         신미양요순국무명용사비(좌)와 쌍충비각






          사진을 클릭하면 글씨를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신미순의총(辛未殉義塚)

          신미양요 때 미 해군과의 전투에서 전사한 무명용사 51명을 7개의 무덤에 나누어 합장 곳이다.










        강화해협 너머로 보이는 길상산과 마니산






         순목돈대 너머로 보이는 진강산과 덕정산






         순목돈대 포좌 3기










         용두돈대

         순돌목돈대에 소속된 외곽 초소겸 포대








         용두돈대에서 바라본 김포의 승마산(130m)과 우측의 수안산(147m)






         용두돈대에 전시된 화포








         두돈대 화포와 강화 전적지 정화기념비






         광성보에서 25km를 달려와 강화도 최북단에 위치한 강화 평화전망대에 도착했다.






         평화전망대에서 조망한 북녁땅, 고군리 뒤로 예성정맥 끝자락인 백대산이 솟아 있다.






         평화전망대에서 조망한  강화의 성덕산과 봉천산








         평화전망대에서 조망한 북녁땅






         망배단과 그리운 금강산 노래비








        강화지맥이 시작되는 제적봉 












         주차장으로 걸어 가면서...






         금년 6월에 석모대교가 개통됬다는 소식을 듣고 석모도로 향한다.






         국내에서 22번째로 큰섬 석모도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와 삼산면 석모리를 잇는 석모대교, 길이 1.54km 폭 12m로 착공 5년만인 2017년 6월 27일에 개통되었다.

         이제 외포리 선착장에서 배에다 차를 싣고 내리는 번거로움은 없어졌다.






         오후 일정으로 석모도의 보문사를 찾아간다. 









보문사(普門寺)

인천 강화군 삼산면 매음리 낙가산(洛迦山)에 있는 신라시대의 혜정대사가 건립한 절로 대한불교조계종 직영사찰, 국내 3대 관음영지(觀音靈地) 중 한 곳이며, 창건 당시 서역의 고승이 천인대(千人臺)에 불상을 모시고 날아왔다는 설이 있다. 3대 관음영지는 남해 보리암, 양양 낙산사, 강화 보문사로 관음영지는 관세음보살님이 상주하는 성스러운 곳을 의미한다.






         낙가산 마애석불좌상을 보기위해 계단을 오른다.

   







         낙가산 눈썹바위, 그 아래 암벽에 마애석불좌상이 조각되어 있다.








         마애석불좌상

         마애석불좌상은 1928년에 금강산 표훈사(表訓寺)의 승려인 이화응(李華應)이 보문사 주지 배선주와 함께 조각한 것으로, 높이 9.2m, 3.3m이다.

         석불좌상의 상부에는 거대한 눈썹바위가 있고, 좌측에는 비명(碑銘)이 있으며, 불상 앞에는 소규모의 석등이 있다.






         불음도 앞 바다에 멋진 빛내림이 펼쳐진다.







         각자의 소망을 적은 명패가 연등에 매달려 바람에 휘날린다.








         마애석불좌상 아래 쉼터에서 내려다 본 보문사 










         보문사 와불전






         범종각과 윤장대(輪藏臺)






         법음루






         법음루, 윤장대, 범종각






         천인대(千人臺)의 오백나한, 천인대는 천명이 앉을 수 있는 곳을 뜻한다









         와불전에서 내려다 본 극락보전(중앙)






         보문사 감로차원







         낙가산 보문사일주문을 나서..






         바로 인근에 있는 물레방아 식당에서 강화도의 별미를 음미한다.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