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다우 강을 따라 흐르는 보헤미안의 영혼
스메타나(Bedrich Smetana : 1824~1884)의 교향시 ‘나의 조국’ 중 가장 유명한 제2곡 ‘몰다우’를 들으면 눈앞에 어쩐지 가슴 뭉클한 장면이 펼쳐진다. 몰다우 강(몰다우는 독일 이름이고 체코 말로는 블타바 강이다)은 그 어느 곳보다도 체코 사람들에게 노스탤지어를 강하게 불러일으킨다. 그것은 비단 체코인만의 느낌은 아닐 것이다. 일제 강점기에 안익태 선생이 이 곡을 지휘하면서 눈물을 흘리며 조국의 독립을 갈망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지난 2002년 북한의 조선국립교향악단과 우리나라의 KBS교향악단이 협연하는 자리에서도 남북 화해와 협력의 물꼬를 틔우라는 뜻에서 작은 물줄기가 큰 강을 이루는 풍경을 묘사한 ‘몰다우’를 연주한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만큼‘나의 조국’은 민족의 그리움이란 보편적인 정서를 건드린다.
프라하를 관통하는 몰다우 강 오스트리아 국경에서 발원한 몰다우는 북쪽으로 흘러내려 체스키, 크룸로프, 프라하를 관통한다. 그런 다음 라베(독일 이름 엘베) 강과 합류해 독일로 유입된다. 서구문화권의 중심지에 위치한 체코는 역사적으로 불행했던 반면 문화적인 면에서는 고도의 발전을 이룩했다. 특히 작곡가와 연주가 등 음악에 있어서는 유럽에서도 강국으로 꼽힌다. 체코의 수도 프라하는 제2차 세계대전 중 폭격을 받지 않아 베를린이나 부다페스트, 바르샤바보다도 훨씬 더 고색 창연한 유럽의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프라하 시내를 동서로 가로질러 도도히 흐르는 몰다우 강 주변에는 고풍스런 건물들과 다리가 아름답게 자리하고 있다. 강변에는 체코 국립극장과 스메타나 기념관이 위치해 있다. 중심가인 바클로브스키 남네스티 거리를 지나면 구시가지인 벤첼 광장이 나온다. 이 광장은 200여 년 이상 된 고색창연한 석조건물들에 둘러싸여 있으며 옆길로 난 골목에는 서점, 카페, 레스토랑, 재즈 바 등이 오래된 건물 안에 입주해 있다. 광장을 지나 몰다우 강변으로 조금 더 걸어가면 국립극장 길 건너편에 스메타나 기념관이 나타난다.
이 기념관 앞에서 보면 몰다우 강이 유유히 굽이쳐 흐르고 강 위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석조교인 칼 다리가 있으며, 강 건너편 언덕에 고고한 느낌의 프라하 성이 있다. 1824년 보헤미아의 리트미실이라는 마을에서 태어난 스메타나는 다섯 살에 현악 4중주의 일원으로, 여섯 살에는 피아니스트로 공개 연주회를 가졌을 만큼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20세에 프라하로 건너가 레슨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그는 37세가 되어서야 완벽한 체코어를 구사할 수 있었는데, 당시 합스부르크 제국 휘하에 있던 체코의 중산층은 대개 독일어를 사용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모국어인 체코어에 열정을 쏟으면서 오늘날 체코 민족음악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
민족음악의 선구자 스메타나
스메타나가 ‘나의 조국’의 작곡을 시작한 것은 50세 무렵인 1874년이었다. 그러나 이때부터 귀에 이상이 생겨 제1곡인 ‘비셰흐라트(높은 성)’에 이어 제2곡인 ‘몰다우’ 작곡에 착수했을 무렵에는 교향곡 9번을 작곡할 당시의 베토벤처럼 완전히 귀가 들리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불굴의 의지로 제6곡까지 계속 써서 55세에 전곡을 완성한다. 제1곡 ‘비셰흐라트’는 몰다우 강을 내려다볼 수 있는 높은 언덕 위에 있는 고성의 성터를 배경으로 국가의 전설을 회상하는 곡이다. 음유시인 르밀이 퉁기는 수금(竪琴) 소리를 마음 속으로 듣다가 영광에 찬 과거의 회상에 잠긴다. 잠시 후 시인은 옛 영광의 몰락을 보고 황폐한 모습으로 우뚝 서 있는 비셰흐라트를 노래한다. 실제로 성터에서 바라보는 프라하의 시가지와 몰다우 강의 경관은 스메타나가 묘사한 그대로 참으로 감동적이다.
가장 유명한 제2곡 ‘몰다우’는 두 개의 수원에서 발원해 그 폭을 점차 넓혀 간 몰다우가 양 기슭에서 뿔피리 소리와 시골 춤, 달빛과 요정의 음악이 메아리치는 가운데 성 요하네에 이르러 파도가 물보라를 튕기며 흩어지는 모습을 묘사했다.
세 번째 곡인 ‘샤르카’는 ‘몰다우’를 완성한 이듬해에 작곡했다. 비교적 많이 연주되지는 않지만 흥미로운 표제다. 프라하 근교 공항 근처에 있는 샤르카라는 지명에 보헤미아의 아마존이라 할 수 있는 ‘샤르카’의 전설을 끌어들인 것이다. 샤르카는 사랑에 배신당한 쓰라린 경험으로 남자들에게 복수의 칼날을 휘둘렀던 여전사.
체코의 자연과 역사 등을 소재로 제4곡인 ‘보헤미아의 숲과 초원에서’는 목가적이고 친숙한 선율로 체코의 풍광을 묘사하고 있어 ‘몰다우’ 다음으로 자주 연주된다.
다섯 번째 곡인 ‘타보르’는 1878년에 완성되었다. ‘타보르’는 프라하 남쪽으로 약 90킬로미터 지점에 있는 고장으로, 1420년 그리스도교 후스파(派)의 얀 지슈카 등에 의해 건설된 후스 운동의 중심지였다. 후스 운동은 체코의 종교지도자로서 부패한 가톨릭의 개혁을 부르짖다 순교한 얀 후스를 지지하며 종교개혁에 앞장섰던 것으로, 독일의 지배에 저항한 체코의 국민주의 운동이기도 하다.
이 곡과 쌍벽을 이루는 제6곡 ‘블라니크’는 이듬해인 1879년 작곡됐다. ‘블라니크’란 산의 이름인데 블라니크 산기슭에서 후스단의 전사들이 비극적인 압제로부터 보헤미아를 구출하기 위해 소집을 기다리며 잠을 자고 있다가 전투에 나아가 큰 승리를 거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체코 프라하에 갈 때는 MP3플레이어를 가지고 가면 어떨까. 몰다우 강가의 다리 위를 거닐다 비셰흐라트를 바라보며 스메타나의 ‘나의 조국’ 중 몰다우을 들어보자. Karajan이 지휘한 베르린 필의 선율에 몸을 맡기어 잠시 쉬어 감도 좋을 듯 하다. 클래식에 알러지가 있는 사람이라면 이 곡들은 어떨까?
독일 출신 5인조 아트록 밴드 Pell Mell의 1972년 데뷔작 'Marburg'에 실린곡과 같은 국적의 기타리스트인 Wolf Hoffmann이 1997년에 발표한 'Classic Album'에 수록된 곡입니다. 색다른 즐거움이 느껴지나요!!
새가 페루에서 죽다[http://blog.daum.net/zydeco]
베르린 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