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대간칠정맥

백두대간 3구긴(통안재-중재) 구간코스 2006. 5. 7 : 권포리-통안재-유치재-매요리-사치재-시리봉-아막성터-복성이재 산행거리 : 14.8 km, 산행시간 : 11:30분 권포리 출발, 16: 10분 복성이재 도착, 4시간 40분 소요 2006. 10. 29 : 복성이재-치재-꼬부랑재-봉화산-광대치-월경산-중재-중기마을 산행거리 : 13.8 km, 산행시간 : 13:40분 복성이재 출발, 17:53분 중기마을 도착, 4시간 13분 소요 (총 거리 : 28.6 km(접속구간 2 km) , 산행시간 : 8시간 53분 소요) 아쉬워서 좋은것 이구간 계획은 복성이재 인근 성리에서 민박하고 연속 종주를 계획했으나 급한일이 발생하여 봉화산을 앞에 두고 상경, 다시 만나기 까지 5개월이 걸렸지만 봄, 가을의 조화가 이채롭다. 2006. 5... 더보기
백두대간 2구간(성삼재-통안재) 구간코스 1일차 : 성삼재 - 작은고리봉 - 묘봉치 - 만복대 - 정령치 - 고리봉 - 고기리 삼거리(1박) 산행거리 : 11.7 km, 산행시간 : 14:00분 성삼재 출발, 18: 05분 고기리 삼거리 도착, 4시간 05분 소요 2일차 : 고기리 삼거리 - 노치샘 - 수정봉 - 입망치 - 여원재 - 장치 - 고남산 - 통안재 - 임리 산행거리 : 18.3 km, 산행시간 : 06:15분 고기리 삼거리 출발, 12:25분 임리 마을회관 도착, 6시간 10분 소요 (총 거리 : 30.0 km(접속구간 2 km) , 산행시간 : 10시간 15분 소요) 준비물 이 구간은 민박을 하기로 하여 약간의 간식과 과일만 지참하고 코펠, 버너, 음식물은 준비치 않았음. 하루 날 09:10분 남부터미널에서 구례행 버스 .. 더보기
백두대간 1구간(중산리-성삼재) 새가 페루에서 죽다[http://blog.daum.net/zydeco] 구간코스 중산리 - 칼바위 - 로타리대피소 - 천왕봉 - 제석봉 - 장터목대피소 -연하봉 - 삼신봉 - 촛대봉 - 세석대피소 - 영신봉 - 칠선봉 - 선비샘 - 덕평봉 - 벽소령대피소 -형제봉 - 연하천대피소 - 명선봉 - 토끼봉 - 화개재 - 삼도봉 - 임걸령 - 돼지.. 더보기
나홀로 백두대간을 찾는분을 위하여 더보기
백두대간 주요고개 및 도로 백두대간의 주요고개 및 도로 고 개 명 구 간 행 정 소 재 도 로 현 황 진 부 령 27구간 고성군 간성읍-인제군 북면 2차선포장, 46번국도, 간성읍 홀리출장소있음 미 시 령 27구간 고성군 토성면-인제군 북면 2차선포장, 466번지방도, 휴게소 한 계 령 26구간 인제군 북면-양양군 서면 설악산국립공원. 2차선포장, 44번국도, 휴게소 451번도로 25구간 인제군 인제읍-양양군 서면 설악산국립공원. 2차선포장, 451번지방도 조 침 령 25구간 인제군 기린면-양양군 서면 비포장도로, 노폭 7m 구 룡 령 25구간 양양군 서면-홍천군 내면 2차선포장, 56번국도, 휴게소 진 고 개 24구간 강릉시 연곡면-평창군 도암면 오대산국립공원, 2차선포장, 6번국도, 휴게소, 대 관 령 24구간 강릉시 성산면-.. 더보기
백두대간의 주요산과 봉우리 백두대간의 주요산과 봉우리 순번 지 명 높이(m) 행 정 구 역 비 고 1 마산 1,052 강원도 고성군 풍속계측기, 군부대 터 2 신선봉 1,204 강원도 고성군, 인제군 천연보호구역 지정비 3 황철봉 1,381 강원도 인제군, 속초시 설악산국립공원, 천연보호구역 지정비석 4 대청봉 1,381 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속초시 설악산국립공원 기념비석과 안내판, 중청대피소 5 망대암산 1,236 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설악산국립공원 천연보호구역지정비석, 바위지대 6 점봉산 1,424 강원도 인제군, 양양군 설악산국립공원 이정표, 정상표시 7 갈전곡봉 1,204 강원도 홍천군, 인제군 넓은공터, 이정표 8 약수산 1,306 강원도 홍천군, 양양군 표지목 9 응복산 1,306 강원도 홍천군, 양양군 이정표 1.. 더보기
백두대간 도상거리 백두대간 구간별 도상거리 (출처 : 사람과산 2001.10. 별책부록) [ 지리산권 ] 중산리-(5)-천왕봉-(4.1)-촛대봉-(2.8)-칠선봉-(3)-벽소령-(3.2)-명선봉-(2.4)-토끼봉-(1.7)-삼도봉-(5)-노고단-(1.3)-종석대-(1.2)-성삼재-(1.6)-고리봉-(3.3)-만복대-(1.8)-정령치-(0.75)-고리봉-(2.8)-고기리-(4.2)-수정봉-(3.7)-여원재-(5.2)-고남산-(5.4)-매요리-(2)-사치재-(2.2)-새맥이재-(1)-시리봉-(3.7)-복성이재-(3.5)-봉화산-(4.3)-광대치-(2.7)-중재 .. 계 77.85km (산림청 77.1km) [ 덕유산권 ] 중재-(3.7)-백운산-(3.2)-영취산-(1.9)-덕운봉-(1.7)-민령-(2.3)-깃대봉-(2.5)-.. 더보기
백두대간이란 백두대간 산경도 1. 백두대간이란? 우리 선조들이 오랜 세월 검증과 고증을 거쳐오면서 발전시켜온 전통지리관이다. 그렇기 때문에 백두대간이야말로 우리민족의 삶의 터전인 이 땅을 가장 정확하게 읽어내고 표현해 낼 수 있다. 산줄기가 강을 넘고 바다를 건너는 산맥의 혼돈을 바로잡아 줄 수 있는 대안이 바로 백두대간이다. 이런 이유들로 해서 일제의 침략정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산맥개념은 하루속히 우리의 전통지리관인 백두대간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그래서 지도만 가지고도 우리의 산줄기와 강줄기의 근본을 알 수 있고, 우리 민족사의 굴곡들을 꿰뚫어 볼 수 있어야 한다. 백두대간, 살아 꿈틀거리는 불가항력의 힘이 느껴지는 거대한 산줄기는 바로 이 땅의 역사다. 산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백두대간에 대한 이해의 폭.. 더보기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