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막걸리(탁주)는 고려 문신 이규보(1168~1241)의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나오는 우리의 전통주다. 배꽃 필 때 필요한 누룩을 만든다 해서 이화주라고 불렸다고도 하고, 77 가지 술 제조법을 기록한 조선조말 "양주방"(1837년)엔 "혼돈주"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발효된 뒤 막 걸른다고 해서 막걸리가 됐다지만, 좋은 막걸리는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 떫은맛(甘 酸 辛 苦 澁)에 감칠 맛과 시원한 맛까지 더해저 있다. 알콜 도수가 낮은데다(6%) 아미노산 비타민B 등이 들어 있어 배부르고 피로를 풀어준다. 때문에 예전엔 농사 짓고 막일 할 때면 누구나 새참과 함께 먹고는 힘을 냈다.
특히 60~70 년대 산업 개발 시대엔 너나 할 것 없이 막걸리 한사발로 일상의 시름과 배고픔을 달랬다. 64 년 쌀막걸리 제조가 금지돼 모두 밀막걸리였는데도 60년대말 막걸리 소비량은 전체 술 소비의 80 %에 달했다.
70 년대 중반까지 70 %였던 막걸리 소비는 그러나 유해 막걸리 유통에 맥주와 소주 애호가가 생기면서 줄어들기 시작했다. 더구나 82 년 맥주와 소주에 대응한다고 도수를 6 도에서 8 도로 올리면서 치명타를 입었다. 지하철 공사 인부 새참으로 주던 막걸리의 도수가 높아져, 인부들이 취하자 공사장에서의 막걸리 지급을 금지하는 통에 소비가 급감한 것.
85 년 다시 6도로 내렸지만 한번 꺾인 수요는 살아나지 못했고, 88 년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맥주에 추월 당했다. 91 년 위스키 시장 개방과 함께 주세율을 10 %에서 5 %로 내렸지만 출고량은 더 줄었다.
지금은 논두렁에서도 막걸리 대신 커피나 소주를 마신다지만, 그래도 많은 이에게 막걸리는 추억이다. 찌그러진 양은주전자, 젓가락 장단, 옷에 엎질러진 냄새까지...안주라야 도토리묵과 파전, 때론 김치 뿐이었지만 그래도 그 시절의 꿈과 낭만을 잊지 못한다.
" 2004 대한민국 막걸리 축제 "가 경기도 일산 호수공원 앞 미관광장에서 열렸을 때다. 찹쌀, 잣, 인삼, 더덕, 천연암반수, 검은콩 막걸리까지 온갖 종류의 막걸리가 모인 광장에서 사람들은 삼삼오오 둘러앉아 얘기하고 모르는 사람에게도 한사발 막걸리를 권했다.
텁텁하고 정겨운 막걸리의 멋을 느끼게 한 행사였던 셈...하지만 그늘도 앉을 곳도 마련하지 않은채 막걸리 판매에만 급급한 듯한 대목은 아쉽고 안타까웠다. 요즘들어 막걸리 열풍이 대단하다. 오늘같이 비가 내리는 날이면 파전에 막걸리 한잔 생각이 난다.
백두대간을 걸으며 맛 본 막걸리
성삼재 - 통안재 구간의 고기리 삼거리에 있는 선유산장. 저녁 먹으며 한잔 곁들임. 맛이 Good
통안재 - 중재구간, 택시기사의 추천으로 함양시장에서 돼지국밥에 곁들여 한잔, 맛이 깔끔하다.
중재 - 육십령구간,
육십령휴계소에서 라면을 안주 삼아 큰거 한병..서울로 오는길에 화장실 가느라 바빠다.
육십령 - 신풍령구간, 신풍령휴계소에서 묵은지에 한 항아리 마심(5,000원), 삼복더위라 맛이 꿀맛.
궤방령 - 삼마골재구간중 독도를 잘못해 직지사로 빠짐, 경남식당에서 저녁먹으며 한잔, 맛이 담백하다.
갈령 - 널재구간, 속리산 신선대휴계소에서 물국수에 곁들인 신선당귀주, 달콤하며 분위기에 취하다.
속리산 문장대휴계소...패트병에서 사발에 따라준다(잔당 2,000원) 2잔 마시고 화북으로 하산했다.
버리기미재 - 이화령구간 은티마을 주막집, 복은 김치와 묵밥을 안주삼아 1주전자 다 마심,
맛이 끝내줌..세상 부러울게 없었음. 주인 아줌마 무척 친절함. 사과는 서비스임. 이것 말고
다음날 먹으라고 배낭에 3개 더 넣어 줌. 다음 날 주먹밥 맛도 끝내 주었음.
이화령 - 하늘재구간, 조령 자연휴양림내에 위치한 민박집, 묵밥과 동동주 1되 시킴,
주인식구들과 한상에서 식사를 하게되어 메기매운탕 얻어 먹음,
묵밥은 남기도 매운탕에 동동주 1되 다마심. 감칠맛 있음.
하늘재 - 벌재구간, 벌재에서 방곡리 방향 1 km 지점에 위치함.
소백산검은콩막걸리 작은것 없어서 큰것 시킴, 버섯찌게와 1병 다 마심. 맛이 고소하고 부드럽다.
벌재 - 죽령구간, 저수령휴계소, 라면에 곁들여 한잔, 고들빼기 맛이 죽음이었음. 그 핑계로 한잔 더.
화방재 - 피재구간, 피재 간이휴계소, 감자 부침에 옥수수로 빗은 막걸리. 맛이 기가 막힘.
백봉령 - 삽당령구간, 삽당령 주막, 전병에 옥수수 동동주 2잔 들이킴. 맛이 좋아 1병(5,000원)사옴.
대관령 - 진고재구간, 노인봉산장, 양이 작지만 한잔(4,000원)에 뽕 간다. 누룩향기가 그윽하다.
조침령 - 한계령구간, 한계령조껍데기 막걸리, 맛이 달콤 시큼하다.
한계령 - 천불동계곡, 소공원 거의 다와 청운각에서..숙성이 덜된는지 맛이 텁텁함.
미시령 - 진부령구간, 진부령부흥식당, 황태구이에 동동주 안마시고 오면 백두대간 종주는 무효라는
속설이 있음. 반되만 시켰는데 1되 줌. 덕분에 동서울까지 오는동안 하늘나라에 갔다 왔음.
그 외 다수의 장소가 있었지만 사진이 없어 생략함. 고장마다 각기 특유한 맛을 지니고 있는 우리 술,
우리 막걸리, 건강에도 좋다 하니 적당히 마셔 줍시다.
'일대간칠정맥 > 백두대간[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31구간(미시령 - 진부령) (0) | 2009.08.12 |
---|---|
백두대간 30구간(미시령 - 희운각대피소) (0) | 2009.06.14 |
백두대간 29구간(한계령 - 희운각대피소) (0) | 2009.06.14 |
백두대간 28구간(조침령 - 한계령) (0) | 2008.09.07 |
백두대간 27구간(구룡령 - 조침령) (0) | 2008.08.30 |